현대중공업강수현

현대중공업그룹, 올해 197억불 수주. 197척 인도

이경화 2016. 1. 8. 19:51

 

 

 

 

 

 

 

 

 

 

 

 

 

 

 

 

 

 

 

 

 

 

 

현대중공업그룹, 올해 197억불 수주·197척 인도

 

 

현대중공업·현대삼호 167억불, 현대미포 30억불 수주목표 세워


매출목표 29조4000원…유조선·가스선 위주로 선박 인도 이어져

           

▲ 현대중공업, 현대삼호중공업, 현대미포조선 조선소 전경

 

 

현대중공업, 현대미포조선, 현대삼호중공업 등 현대중공업그룹 조선 계열사들이

 

올해 조선·해양·플랜트 수주목표로 197억 달러를 설정했다.


이와 함께 매출은 약 29조4000억원, 인도목표는 197척을 정하며 경기침체에도 불구하고

 

한국 경제의 수출행진을 이끌어간다는 방침이다.


현대중공업은 지난 4일 신년사를 통해 올해 수주목표는 195억 달러, 매출목표는 21조6396억원으로 정했다고 발표했다.

수주목표 중 전기전자, 그린에너지 등을 제외한 조선·해양·플랜트 사업부문 수주목표는

 

현대삼호중공업을 포함해 167억 달러로 정했다.


지난해 1월 초 수주 229억5000만 달러, 매출 24조3259억원을 목표로 정했던 것을 감안하면

 

올해 수주목표는 15%, 매출목표는 11% 감소한 수치다.


권오갑 현대중공업 사장은

 

“공격적인 목표를 세웠지만 각 사업본부마다 사업대표를 중심으로 최선을 다한다면 불가능할 것도 없다”며

 

“2016년, 반드시 흑자를 달성하자”고 임직원들을 독려했다.


현대미포조선은 올해 수주 30억 달러, 매출 3조7000억원을 목표로 정했다.

 

수주목표는 지난해와 동일하며 매출 목표는 1500억원 증가했다.


현대미포의 경우 지난해 27억9000만 달러를 기록하며 상대적으로 수주목표에 근접한 성과를 달성했다.

또한 지난해 VLCC(초대형원유운반선)과 함께 석유제품선 발주도 활기를 보였던 만큼

 

올해도 다른 선종에 비해 발주가 이뤄질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현대삼호중공업은 올해 수주 40억 달러, 매출 4조800억원을 목표로 정했다.

 

수주는 지난해 목표 대비 2억 달러 늘어났으나 매출목표는 전년 대비 5200억원 감소했다.


현대삼호의 경우 영업부서가 없는 만큼 수주활동은 현대중공업에서 총괄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현대중공업의 수주목표에 현대삼호 수주실적도 포함된다.


현대중공업이 수주를 총괄한다고는 하나 현대삼호도 경영진을 중심으로

 

글로벌 선사들과 유대관계를 이어가며 수주활동에 힘을 보태고 있다.


이와 함께 현대중공업그룹 조선 계열사의 올해 인도 예정 선박은 총 197척인 것으로 집계됐다.

현대중공업이 VLGC(초대형가스선), 유조선을 중심으로 올해 76척(군산조선소 포함)을 인도할 예정이며

 

현대미포도 석유제품선, LPG선, 컨테이너선 등 68척의 선박을 인도할 예정이다.


또한 현대미포 베트남 현지법인인 현대비나신 조선소도 올해 11척의 선박을 인도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현대삼호는 올해 유조선, 컨테이너선, 자동차운반선 등 총 42척의 선박을 인도할 예정이며

 

이중 유조선이 27척으로 전체 인도선박의 64%를 차지하고 있다.


지난해 발주사의 반잠수식 시추선 인도거부로 시련을 겪었던 현대삼호는

 

올해부터 특수선 건조가 사실상 마무리됨에 따라 상선건조에 집중할 수 있게 됐다.


윤문균 현대삼호 대표는 신년사에서

 

“올해도 조선산업이 부진할 것이라는 전망이 많지만 우리가 경쟁력을 가진

 

자동차운반선, LPG선은 발주가 이어질 것으로 보여 기대를 걸고 있다”며

 

“올해부터 건조경험이 많은 상선 위주로 공정이 진행될 예정이므로

 

2016년 경영목표 달성에 자신감을 갖고 있다”고 밝혔다.

 

 

 

대우조선 감사위, 검찰에 고 전 사장 조사 진정서 제출


마녀사냥식 책임 전가 논란… 산업은행은 잘못 없나

           

▲ 대우조선해양 다동 사옥.ⓒ대우조선해양
대우조선해양의 4조2000억원대(2015년 기준)에 이르는 영업손실에 대한 비난여론이

 

고재호 전 사장에게 집중되고 있는 가운데 부실책임 논란이 재점화될 전망이다.

한국산업은행 등 대우조선해양 채권단의 유동성 지원 결정 및 노사갈등이

 

지난 2015년 말 일단락되면서 미뤄뒀던 부실 상세원인규명 작업이 탄력을 받고 있는 모양새다.

6일 조선업계에 따르면 대우조선해양 감사위원회는 최근 창원지검에

 

고 전 사장의 부실경영 책임 여부를 조사해달라는 내용의 진정서를 제출했다.

감사위원회는 4조2000억원의 부실 발생 원인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고 전 사장의 배임정황을 포착해 진정서를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진정서 내용을 검토한 뒤 조만간 수사 착수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앞서 고 전 사장은 지난해 9월 대우조선해양 소액주주 120여명으로부터도 노르웨이 송가 프로젝트 등

 

대규모 해양플랜트 공사들의 건조비용 등을 제대로 예측하지 못했다며 손해배상청구소송을 당한 바 있다.

다만 모든 부실 책임을 고 전 사장에게만 전가하는 것은 옳지 못하다는 지적도 일고 있다.

대우조선해양 부실의 원흉으로 지목되는 송가 해양설비 4기는 고 전 사장 취임 전

 

남상태 전 사장 재직시절 건조 및 계약조건 등이 전부 합의된 상태에서 수주된 프로젝트다.

 

아무리 인수인계가 잘 됐어도 선주 입장에서는 계약상대가 달라지는 만큼

 

건조 및 인도 과정에 있어 모든 여건이 불확실해질 수밖에 없다.

무엇보다도 대우조선해양은 따로 주인이 없는 기업인만큼 자금줄을 쥐고 있는

 

대주주 한국산업은행이 감시역할을 충실히 해왔느냐 여부도 논란이 불가피하다.

 

실제로 산업은행은 수년간 대우조선해양에 최고재무책임자(CFO)를 파견해 오고도

 

부실 누적 징후를 발견하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조선업계 한 관계자는

 

“이번 부실사태는 어느 한 사람의 책임이 아닌 조선사 CEO들의 짧은 임기 및 설계 인프라 부족,

 

일방적 수주계약 등의 구조적 문제”라고 지적했다